💡오늘 디플릭 요약💡
[News] GPT-5, 드디어 전면 공개! 어디까지 좋아졌을까
[In;D] AI 버블론, 뒤에서 조용히 진행 중인 진짜 혁신
[TMI] 코딩? 디자인? 몰라도 됩니다. 말만 하세요!
[UxQuiz] 호텔 룸카드에 방 번호가 없는 이유? |
|
|
📰 매일 바뀌는 AI · UX · IT 흐름 📰
빠르고 간결하게 전해드려요! |
|
|
-
(글로벌) 오픈AI, 통합 업그레이드 모델 ‘GPT-5’ 전격 공개
오픈AI가 GPT-4o와 o3 추론 모델을 통합한 차세대 AI ‘GPT-5’를 공개했어요. 수학·과학·코딩 등 주요 벤치마크에서 최고 성능을 기록하고 환각률을 낮췄으며, 같은 질문에도 다양한 답변을 제시해 선택지를 넓혔어요. 모든 챗GPT 이용자에게 무료 제공되며, 유료 플랜은 사용량과 기능이 확장돼요.
-
(글로벌) 뤼튼, GPT-5 무료 무제한 제공…국내 최초 도입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오픈AI 최신 플래그십 모델 ‘GPT-5’를 무료·무제한으로 제공하기 시작했어요. GPT-5는 GPT-4o와 o3 추론 모델을 통합해 정확성과 대화 자연스러움을 높인 버전이에요. 앱과 웹에서 전용 메뉴로 바로 쓸 수 있어, 누구나 최신 AI 성능을 제한 없이 경험할 수 있어요.
-
(글로벌)샘 올트먼 vs 일론 머스크, AI 체스 대결 승자는?
카글이 개최한 ‘AI 체스 토너먼트’에서 오픈AI의 o3가 xAI의 그록4를 4대0으로 꺾고 전승 우승을 차지했어요. 이번 대회는 LLM의 전략·추론 능력을 실시간으로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었는데, o3는 안정적인 수읽기로 8강부터 결승까지 한 세트도 내주지 않았어요. 카글은 앞으로 바둑·마피아 같은 게임으로 평가 범위를 넓힐 계획이에요.
-
(국내) 한국 대학생도 AI 풀코스, 1년 무료 지원!
구글이 국내 대학생·대학원생에게 월 2만9000원 상당의 ‘구글 AI 프로’ 멤버십을 1년간 무료로 제공해요. 제미나이 2.5 기반 리서치, 코딩, 영상 생성 툴은 물론 2TB 저장공간까지 포함돼 있어요. 학업도 창작도 AI로 도와주는 풀패키지 혜택, 10월 6일까지 신청 가능하니 놓치지 마세요.
-
(국내) 카카오페이, 'AI 결제 링크 생성'도 자연어로
카카오페이가 AI 챗봇에 “커피 결제 링크 만들어줘”라고 말하면 실제로 결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기술을 공개했어요. ‘MCP’ 프로토콜과 ‘에이전트 툴킷’을 활용해 AI가 결제 API를 안전하게 불러오는 구조예요. 결제 승인부터 취소까지 7가지 핵심 기능도 툴로 제공돼, AI 기반 결제 환경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요.
|
|
|
-
(국내) 카카오톡, 9월 대개편! 피드+숏폼으로 ‘소셜 UX’ 강화
카카오톡이 메신저를 넘어 소셜 콘텐츠 플랫폼으로 진화해요. 1번 탭엔 친구의 일상을 보여주는 ‘피드’ 중심 UX, 3번 탭엔 숏폼 영상 도입으로 콘텐츠 탐색 경험을 확장해요. 채팅창 안에서도 콘텐츠를 바로 보고 공유하는 심리스 UX도 적용될 예정이에요.
-
(국내) 네이버, AI 브리핑으로 검색 UX 업그레이드
네이버가 검색 서비스 ‘AI 브리핑’으로 이용자 경험을 강화하고 있어요. 검색 의도를 요약해 보여주는 이 기능은 적용된 세션에서 클릭률이 8%P, 체류 시간이 20% 이상 늘었어요. 올해 적용 범위를 20%까지 확대하고, 내년엔 대화형 ‘AI 탭’으로 맞춤형 검색 UX를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에요.
-
(국내) 티빙, ‘같이볼래·팬덤중계’로 시청 UX를 ‘참여형’으로
티빙이 실시간 채팅·리액션·호스트 소통이 가능한 ‘같이볼래’와 스포츠 특화 ‘팬덤중계’로 OTT 시청 경험을 참여형으로 확장했어요. ‘대탈출’에 적용 시 2주차 시청시간이 2배 늘었고, Z세대가 선호하는 실시간 소통·팬덤 활동 트렌드에 맞춰 UX 전략을 진화시키고 있어요.
-
(국내) NH농협은행, 비대면 외환 플랫폼 ‘FX올원’ 출시…UX도 업그레이드
농협은행이 외환거래를 더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FX올원’을 내놨어요. 경쟁력 있는 호가 제공, 선물환·스왑 거래 지원에 더해 새벽 2시까지 주문 가능한 유연한 거래 환경을 마련했어요. 특히 UI·UX를 개선해 법인 고객도 API 연동으로 맞춤형 외환 서비스를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어요.
|
|
|
디자이너의 시선을 넓혀주는 시간
작은 인사이트가 인생의 전환점이 될지도..👀 |
|
|
모두가 AGI에 몰두할 때, 진짜 AI는 다른 곳에서 자라고 있다
The AI Bubble: 환상 속에서 놓치고 있는 것들 |
|
|
AI는 지금, 두 개의 방향으로 나뉘고 있어요
하나는 막대한 자본과 자원을 태우며 미래를 꿈꾸는 쪽, 다른 하나는 지금의 기술로 문제를 해결하며 미래를 만드는 쪽입니다.
- 전자는 OpenAI, Google, Microsoft 등 초거대 AI 기업
- 후자는 Hugging Face, 스타트업, 오픈소스 개발자 등 현장 밀착형 생태계
겉으로 보기엔 전자가 주도권을 쥔 듯 보이지만 실제로 시장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을 만드는 건 후자 쪽이라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
|
|
화려한 반면, High Church의 과도한 지출은 입증된 투자 수익을 훨씬 초과하고 있다. ©The Information
High Church of AI: AGI를 향한 불타는 집착
초거대 AI 모델, GPT-5, Gemini Ultra...
이들은 모두 AGI(인간처럼 생각하고 추론하는 범용 AI)라는 단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달리고 있어요.
그들의 전략은 단순합니다. 더 많은 돈을 써서, 더 큰 모델을 만든다!
- 2024년, 미국 빅테크 6개사의 AI 인프라 지출은 212조 원 이상
- 매년 63%씩 증가 중인 CapEx(자본 지출)
- 매출의 15%를 투자하고 있지만, 수익 모델은 여전히 불투명
즉, 계속 태우는 비용에 비해, 돌아오는 수익은 너무 적은 거죠.
결국 ‘스케일의 신화’에 기대고 있는 구조예요. |
|
|
2022년 3월 약 3.5만 개였던 Hugging Face AI 모델이 2024년 11월 116만 개로 33배 증가했다. ©Hugging Face, Meta
Low Church of AI: 작고 빠른 기술이 산업을 바꾼다
반면, 작지만 날카로운 실험들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어요.
- 오픈소스 모델 (LLaMA3, Mistral 등) 기반
- 로컬 파인튜닝, 데이터셋 경량화 등으로 성능 최적화
- 고객지원, 법률, 농업, 헬스케어 등 특정 분야에 맞춘 AI 활용
📈 Hugging Face 등록 모델 수: 2년 사이 35,000 → 116만 개로 33배 성장
이건 ‘AI 민주화’가 단순 구호가 아니라, 이미 시작된 흐름이라는 걸 보여주는 수치예요. |
|
|
©AI Image
서로 다른 철학: 중앙집중 vs 분산혁신
Big AI: 모든 문제를 하나의 모델로 해결하고 싶어함
Small AI: 각각의 문제에 가장 잘 맞는 작은 모델을 찾음
High Church(중앙집중형)
- 중앙집중적 접근을 취하고,
- 범용 AI(AGI)를 지향하며,
- 자본 중심으로 운영되고,
- “모두를 위한 하나” 모델을 추구합니다.
Low Church(분산형)
- 분산형 실험을 기반으로,
- 도메인 특화 AI를 지향하고,
- 커뮤니티 중심으로 운영되며,
- “각자에게 맞는 여러 개” 모델을 만듭니다.
중앙 집중형 AI는 효율을 추구하지만, 현장의 복잡성과 다양성 앞에선 유연함이 부족해요.
오히려 지금 가장 혁신적인 AI는 특정한 문제에 집착하는 작은 팀들이 만들고 있죠. |
|
|
©AI Image
지금은 "작은 AI"의 시대입니다
애플이 개인용 컴퓨터를 만든 차고처럼, 지금 AI의 미래는 비효율을 무릅쓴 실험과 작은 코드 속에서 시작되고 있어요.
“AI는 멀티억 달러 게임이다”는 편견
→ 이미 몇 백만 원의 GPU로도 훌륭한 솔루션이 가능
"AGI는 인류를 바꾼다"는 기대
→ 이미 작은 LLM 하나가 산업을 바꾸고 있음
진짜 혁신은 실리콘밸리 회의실이 아니라, 동남아의 농장과 남미의 콜센터에서 벌어지고 있어요.
AI의 미래를 알고 싶다면, 세계적인 발표보다 조용히 돌아가는 커뮤니티를 주목하세요.
당신이 속한 팀은 어떤 AI를 쓰고 있나요?
- 더 크고 더 똑똑한 모델?
- 아니면 작지만 날카롭게 내 문제를 풀어주는 모델?
"다들 AI 얘기하길래 써봤다"에서 "이건 우리가 진짜 필요했던 기능이야!"로 바뀌는 그 순간, AI는 비로소 ‘혁신’이 됩니다. 단일한 ‘정답’을 찾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제는, 나만의 문제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고를 때에요. 대기업의 발표에 놀라는 대신, 작은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팀들의 ‘속도’와 ‘실용성’을 눈여겨봐야 할 때입니다.
|
|
|
🍯 TMI: Tips Made Interesting 🍯
재밌고, 흥미롭게 · 디자이너의 TIP, 그리고 TMI
|
|
|
©Div-idy
프롬프트 한 줄이면 게임 완성?!
Div-idy |
|
|
“간단한 프롬프트로 1분 만에 게임이 뚝딱?”
말 한마디로 웹·앱·게임까지 뚝딱 만들어주는 흥미로운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AI 스타트업 Div-idy는 자연어 입력만으로 웹사이트, 블로그, 인터랙티브 앱, 심지어 게임까지 자동 제작해주는 서비스를 만들었어요.
브라우저에서 실행하고 만들고 싶은 걸 문장으로 입력하면, HTML·CSS·JavaScript는 물론 이미지·레이아웃까지 AI가 전부 생성합니다. 결과물은 즉시 미리보기가 가능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은 바로 수정하거나 퍼블리시할 수 있죠.
덕분에 개발 지식이 없어도 아이디어 → 실물 프로토타입까지 단숨에 완성됩니다.
저희는 이 기능을 테스트해보기 위해 귀여운 브라우저 게임을 하나 만들어봤어요.
어떤 게임이냐고요? 아래 프롬프트를 확인해 보세요 👇
물론 게임뿐만 아니라, 행사 랜딩 페이지, 개인 블로그, 퀴즈 앱 같은 아이디어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어요😉 |
|
|
©Div-idy
📌 English ver.
"A browser-based game where you travel through space collecting donuts.
The start screen shows the title 'Donut Odyssey' with a sparkling 'Start Game' button.
The player moves a small spaceship with arrow keys, collecting colorful donuts that appear randomly on the screen.
Each donut collected increases the score, and when the 60-second timer ends, the final score is displayed.
The background is a star-filled space with a slowly moving Milky Way and planets.
The design should be bright, colorful, and in a cute 2D cartoon style."
📌 한글 ver.
"우주를 여행하며 도넛을 모으는 브라우저 게임.
시작 화면에는 제목 'Donut Odyssey'와 반짝이는 '게임 시작' 버튼이 있음.
플레이어는 화살표 키로 작은 우주선을 움직이며, 화면 곳곳에 나타나는 알록달록한 도넛을 수집.
도넛을 먹을 때마다 점수가 올라가고, 60초 타이머가 끝나면 최종 점수를 보여줌.
배경은 별이 가득한 우주, 은하수, 행성이 천천히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포함.
디자인은 밝고 아기자기한 2D 만화 스타일."
|
|
|
©Div-idy
💡 Tip
- Div-idy는 구체적으로 설명할수록 결과물이 좋아집니다.
- 색상, 레이아웃, 기능 요소(버튼, 이미지, 폼 등)를 꼭 적어주세요.
- 톤이나 분위기도 영어로 묘사하면 디자인 스타일이 훨씬 매끄럽게 나옵니다.
|
|
|
🧩 UxQuiz? Yeeees! 🧩 얕지만 진하게 남는 UX 지식 한 스푼 |
|
|
지난주 퀴즈의 정답은 (B) 운전자가 급정지와 급출발을 혼동하지 않도록 최소 시간만 주기 위해 입니다.
황색 신호는 “멈출지, 통과할지 판단하라”는 의미지만, 사람 심리상 신호가 길면 “아직 괜찮겠지?” 하고 속도를 올리는 경향이 생깁니다.
실제로 교통 안전 연구에 따르면, 황색이 길수록 속도 위반과 신호 위반 비율이 높아지고, 교차로 추돌사고 위험도 함께 증가해요. 그래서 황색은 3~5초의 짧은 구간으로 설정해 “곧 빨간불이다, 멈춰야 한다”는 강한 신호를 주는 거죠.
이건 사용자의 본능적 반응 패턴까지 계산한 ‘행동 유도형 UX 설계’예요.
UX에서는 이렇게 의도된 행동뿐 아니라, 본능적인 위험 행동까지 통제하는 설계가 중요합니다.
|
|
|
Q. 호텔 룸카드에 방 번호를 직접 인쇄하지 않고, 별도 홀더에 끼워주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
|
|
©AI Image
(A) 룸카드 재사용을 쉽게 하기 위해
(B) 호텔 인테리어와 통일된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해
(C) 분실 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D) 카드 표면에 인쇄할 공간이 없어서
정답이 궁금하다면, 다음 레터에서 만나요! 🙌🏻 |
|
|
디플릭 I (주)와키컴퍼니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2 325/326호 ⓒ 2025. WACKY COMPANY All Rights Reserved.
|
|
|
|
|